본문 바로가기
재배하기

온실(그린하우스) 내부 계획하기

by 어부기자 2021. 2. 9.

온실 설치를 완료하였으면, 내부를 적절하게 계획하여 전체 온실 공간을 최대한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식재 베드(bed)

 

규모가 작은 온실의 경우 온실바닥의 흙을 갈아 바로 식물을 재배하는 형태가 많다. 이 경우 식물의 뿌리가 제한 없이 자랄 수 있으며 땅 속 영양분 섭취에도 유리하다. 베드의 폭은 양 쪽에서 접근할 수 있을 때 1.2m, 한쪽에서만 접근할 수 있을 때 0.9m 이내로 한다. 통로는 손수레가 지나갈 수 있도록 0.9m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다른 옵션으로는 높은 상자형 베드 (Raised Garden Bed)를 조성할 수 있는데, 허리를 숙이는 동작이 줄어 작업이 편리하고 배수에도 유리한 구조이다. 온실에서는 천장고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키가 크지 않은 작물을 재배할 경우 적용한다. 노지에서와 마찬가지로 목재, 벽돌, 석재, 블록 등으로 상자를 만든다.

 

Raised Garden Bed

 

온실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나 우드데크로 바닥이 되어 있는 온실이 아닌 경우 바닥을 어떻게 처리할 지 계획해야 한다. 흙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는데, 온실은 물을 많이 사용하므로 진흙 바닥이 될 수 있다. 간단한 방법으로는 식재 베드 외의 공간에 콩자갈이나 나무 멀칭을 깔 수 있다. 나무 멀칭의 경우 곤충을 끌어 들일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로워지긴 하지만 보도블록이나 벽돌로도 많이 마감한다.

 

 

선반과 작업대

 

온실에 선반이나 작업대를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하면 수직 공간을 활용하여 공간이용을 최대화할 수 있다. 공기 순환과 배수가 잘 되도록 구멍이 뚫려 있는 상판이 좋으며, 자외선, 습기에 강한 재료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온도관리 보완시설

 

온실에 난방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면 겨울철에도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보완적인 조치를 통해 온실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겨울철에는 버블랩으로 온실 내부를 감싸주고, 문틈 등을 모두 밀폐한다. 특히 재배하는 식물을 천이나 비닐로 커버를 만들어 감싸주면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여름철에는 온실 내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어 재배하고 있는 식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간단한 조치로는 환기창을 모두 열어 공기 순환이 잘 되도록 하고, 분무기로 식물에 물을 뿌려 주는 것이다. 열기 외에 너무 강한 직사광선도 식물에 좋지 않은데, 가림막을 적절하게 덮어 운영하면 직사광선 및 온도를 관리하는데 유용하다.

'재배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텃밭 식재 계획하기  (0) 2021.02.11
박스형 높은 텃밭 설치하기  (0) 2021.02.10
(조립식) 온실 시공시 자재 선택  (0) 2021.02.09
온도별 온실의 분류  (0) 2021.02.08
온실 (그린하우스)의 다양한 형태  (0) 2021.02.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