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하기27

텃밭 식재 계획하기 텃밭을 계획할 때 어떤 농작물을 재배할 것인 지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어떤 채소와 과일, 허브 등을 식재료로 많이 사용하는지이다. 그리고 텃밭을 재배할 때에는 일지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 재배 상황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남겨 놓으면 이듬 해에는 보다 효율적으로 텃밭을 관리할 수 있다. 식재 기본 원리 - 먼저 어떤 농작물을 소비하는지와 소비하는 양을 계산하여 적절한 양과 시간차를 두고 식재한다. 너무 많은 양을 동시에 수확하여 소비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밭에 작물을 식재할 때에는 일정 정도 간격을 유지해 주어야 한다. 각각의 작물마다 필요한 간격이 상이하니 확인하여 식재한다. - 키가 크거나 틀을 세워 수직으로 재배하는 작물은 북쪽에 배치하여 다른 작물에 그늘.. 2021. 2. 11.
박스형 높은 텃밭 설치하기 박스형 높은 텃밭 (Raised Garden Bed)의 장소를 정했으면, 설치할 위치에 스프레이나 삽 등으로 마킹을 하고 땅을 고른다. 잔디가 있으면 벗겨내고, 내부 흙을 삽으로 뒤집어 배수가 좋게 한다. 박스 재료 선택하기 설치할 박스 재료를 선택한다. - 적삼목 (Red Cedar), 삼나무 (Redwood) 등 부식에 강한 수종의 목재는 가격이 다소 비싸지만 성능이 좋은 재료이다. - 방부목은 농식물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니 등급과 성분을 확인한다. 습기에 강하지 않은 목재를 사용할 때에는 박스 안 쪽에 비닐시트를 감싸준다. - 콘크리트블록도 내구성이 좋아 선호되며, Galvanized Tin 같은 금속재도 박스재료로 사용된다. - 연결철물은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제품을 사용.. 2021. 2. 10.
온실(그린하우스) 내부 계획하기 온실 설치를 완료하였으면, 내부를 적절하게 계획하여 전체 온실 공간을 최대한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식재 베드(bed) 규모가 작은 온실의 경우 온실바닥의 흙을 갈아 바로 식물을 재배하는 형태가 많다. 이 경우 식물의 뿌리가 제한 없이 자랄 수 있으며 땅 속 영양분 섭취에도 유리하다. 베드의 폭은 양 쪽에서 접근할 수 있을 때 1.2m, 한쪽에서만 접근할 수 있을 때 0.9m 이내로 한다. 통로는 손수레가 지나갈 수 있도록 0.9m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다른 옵션으로는 높은 상자형 베드 (Raised Garden Bed)를 조성할 수 있는데, 허리를 숙이는 동작이 줄어 작업이 편리하고 배수에도 유리한 구조이다. 온실에서는 천장고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키가 크지 않은 작물을 재배할 경우 .. 2021. 2. 9.
(조립식) 온실 시공시 자재 선택 온실을 시공할 때 어느 자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성능, 비용, 디자인이 결정된다. 온실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자재는 다음과 같다. 기초 우드데크를 바닥에 깔고 온실을 설치하거나 목재를 온실 테두리의 줄기초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기초를 테두리에만 설치하면 내부에 텃밭이나 화단을 조성할 수 있다. 가장 튼튼한 방법은 콘크리트 줄기초와 슬래브를 설치하고 그 위에 온실을 시공하는 것이다. 온실 내부와 외부 지반 사이에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기초 내, 외부와 슬래브 하단에 단열보드를 부착한다. 프레임 알루미늄 또는 목재 프레임이 가장 많이 시용된다. 조립식 온실에는 주로 알루미늄이 사용되는데 경량이고, 부식에 강하며 조립하게 쉽다. 하지만 저가 제품의 경우 내구성이 떨어지고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높아 단열성능이.. 2021. 2. 9.
온도별 온실의 분류 온실의 온도는 온실 재료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유리, 폴리카보테이트 등의 벽체와 지붕을 2중 재료로 설치하는 것이 열손실이 적으며, 프레임의 경우 목재가 알루미늄보다 단열효과가 높다. 투명한 벽체와 지붕은 단열에 있어서는 취약한 부분이다. 북쪽 방향으로는 햇볕이 온실 안으로 들어오는 양이 적으므로 온실의 북쪽 벽체는 나무, 단열재 등을 사용하여 막는 편이 좋다. 대부분의 식물은 10 - 24℃에서 잘 성장하지만, 식물별로 최적화된 조건이 다르므로 어떤 식물을 재배할 것인지에 따라 적절한 계획을 세워 온실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온도에 따른 온실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Cool Greenhouse 별도의 난방설비 없이도 온실은 바깥 온도보다 2 - 4℃ 정도 높은 온도를 유지한다. 이 외에도 눈, 비.. 2021. 2. 8.
온실 (그린하우스)의 다양한 형태 농작물 등 식물은 외부의 기후조건에 맞추어 재배하는 것이지만 일반적이었지만 온실(그린하우스)을 설치하면 강우량, 채광,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외부 기후조건을 극복, 통제할 수 있다. 온실은 크게 독립형과 부속형으로 나누어지며, 온실 내에 별도의 난방시스템을 운영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온실의 형태는 채광과 온도를 관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각각의 형태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자재가 상이하다. 온실의 형태 재래형 (Conventional) 수직형의 벽체와 박공형 지붕을 가진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온실로 조립식 온실을 구매하면 대부분 이와 같은 형태이다. 목재, 철제, 알루미늄 소재의 프레임과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섬유유리 소재의 벽체와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프형 (Hoop .. 2021. 2. 8.